부동산자격증 종류 감정평가사 취득 메리트?
부동산자격증 종류 감정평가사 취득 메리트?
대한민국 부동산자격증 종류를 알고 계신가요?
다들 첫 번째로 공인중개사를 떠올리실 텐데요.
거기에 주택관리사도 꽤 인기 있는 자격증입니다.
하지만 이 두 자격증은 취득 자체가 생업을
보장해 주지는 못하는데요.
부동산 분야에서 전문성을 인정받고 높은 연봉을
받기 위해서는 '감정평가사'를 준비하셔야 합니다.
공인중개사가 전·월세 계약 및 매매 계약 등의
업무를, 주택관리사는 공동주택의 관리를 하는
자격인데요.
감정평가사는 부동산을 비롯한 다양한 자산의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는 직업입니다.
워크넷의 조사에 의하면, 공인중개사는 약 3천 만원,
주택관리사는 평균 3,700만 원 정도의 수입을
올리는 것으로 나타나는데요.
반면에 감정평가사는 평균 6,600만 원의 연봉을
받고 있습니다.
단순히 연봉이 2배 정도라는 것 외에도 직업적
메리트가 훨씬 뛰어난데요. 감정평가사 취득 시
감정평가법인 또는 사무소, 한국감정원이나
공기업, 금융권, 부동산투자회사 등으로 다양하게
진출할 수 있으며, 연차가 쌓이면 개업이 가능합니다.
개업 후에는 법원으로부터 일감이 고정적으로
들어와 별다른 영업 없이도 수익을 낼 수 있어
평생 직업이라고 할 수 있어요.
또한, 전문직이기 때문에 평균 연봉은 단지
참고사항일 뿐이며, 억대 연봉도 가능해 다른
부동산자격증이 갖지 못하는 '고연봉 평생직업'
메리트를 가지고 있답니다.
하지만 감정평가사는 '부동산 고시'로 불릴 만큼
시험 난이도가 높은 것으로도 유명한데요.
1차의 경우에도 공인중개사 과목과 상당 부분이
겹치지만 회계학 과목의 존재로 난이도가 더 높고,
2차 시험은 논술형으로 출제돼 방대한 양을
공부해야 하지요.
그래서 공인중개사 등과 같이 6개월~1년 이내
합격이 가능한 시험이 아니며, 통상적으로 2~3년
정도를 준비해야 하는데요.
하지만, 합격 후에는 노력에 대한 충분한 보상이
있기 때문에 20대부터 40대 이상에서도 많이
도전하고 있습니다.
감정평가사 1차 2차 단기 개념 학습 및
심화·실전 문제풀이를 제공하는
ALL-PASS 합격반을 추천해 드리는데요!
지텔프(G-Telp) 공인영어특강과 객관식 모의테스트
무제한 응시 등 수강생을 위한 차별화된 혜택까지!
교육원 홈페이지를 통해 환급 혜택 등 다양한
이벤트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