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심리사2급 응시자격 및 실기 합격률(+공략법)
임상심리사2급 응시자격 및 실기 합격률(+공략법)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임상심리사2급
자격증의 응시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요.
우리나라도 선진국 대열에 합류하면서 삶의 질을
우선하는 풍토가 짙어지고 있고, 개인의 정서와
심리적 문제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어요.
임상심리사는 개인 또는 집단의 심리적, 정신적인
문제의 원인을 찾아 치료를 도와주는 전문가로서,
수요와 활동 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예요.
임상심리사2급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2가지
자격조건이 필요합니다.
첫 번째, 4년제 졸업 또는 졸업예정자여야 해요.
전공은 제한을 두지 않으니 참고하시기 바랄게요.
두 번째, (임상심리 관련) 실습수련 1년 이상
또는
실무경력이 2년 이상이어야 합니다.
2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할 때 정상적으로 응시가
가능한데요. 참고로 대학원 이수 과정을 실무로
인정받을 수 있어요. 대학원 학과, 전공, 학위명 중
하나라도 '치료', '심리', '상담'이란 말이 들어간다면
임상심리사2급에 응시할 수 있답니다.
임상심리사2급은 필기보다는 실기 난이도가
훨씬 높아요. 학습 포커스도 실기에 맞추는 전략이
필요한데요. 자격증을 준비할 때 반드시 1차부터
끝내고 2차를 준비할 필요는 없습니다.
1차 시험 후 2차 시험까지는 시간이 넉넉하지
않으니 1차 공부에 앞서 2차부터 공부하거나
1, 2차를 병행하는 것도 고민해 보셔야 해요.
임상심리사2급실기는 객관식처럼 공부하면
안 됩니다. 필기 공부하듯 수박 겉 핥기식으로
내용을 훑는 데서 끝나면, 합격이 매우 어려워지죠.
기본서를 충실하게 공부하고, 핵심 내용을
이해+암기하는 학습을 반복하시는 것이 기본이에요.
기출문제의 비중이 높지만, 기본기를 닦아 두지
않으면 변형된 문제를 풀기가 힘드니, 기출 공부
이전에 기본 이론을 제대로 공부하셔야 합니다.
또한, 5년치 기출문제를 풀면서, 문제유형과
모범답안을 정리하시고, 직접 써 보면서 감을
익혀야만 시험장에서 당황하지 않을 수 있어요.
또한, 독학으로는 한계가 뚜렷하니 전문 강의로
기본 개념 이해와 맥락을 빠르게 파악하고, 시험에
출제되는 핵심 내용을 집중적으로 공부하는 방법을
추천해 드리는데요!
*탑에듀* 교육원에서는 필기+실기 패키지를
최대 60% 저렴하게 제공하며, 2020년 3회 시험일까지
강의를 무료로 연장해 드리고 있습니다.
최신 기출 분석 및 핵심 위주 강의와 무제한 반복수강의
전문적인 학습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으니,
교육원 홈페이지를 통해 자세한 정보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